손목터널증후군의 원인과 자가진단법, 스트레칭 법
손목터널증후군이란 손의 저림을 호소하여 정형외과 진료를 받는 가장 흔한 질환입니다. 수근관이란 손목 부분에 있는 뼈와 수근 인대로 둘러싸인 공간으로, 9개의 손가락을 구부리는 힘줄과 정중신경이 통과합니다. 이 손목터널 내에서 어떤 원인에 의해 정중신경이 압박되면 손목터널증후군이 발생합니다.
발생 원인
그 원인은, 손목의 골절 후, 손목터널 내 종양, 류머티즘에 의한 활막염에 의한 손목터널 내 상승에 의한 것, 임신, 당뇨병, 아밀로이드증, 신질환, 통풍 등 호르몬의 변화나 대사성 질환에 수반되는 것도 있습니다.
그러나 가장 많은 것은 중년 여성에게 빈번하게 발생하는 원인이 불분명한 특발성과 손을 혹사하는 근로자에게 발생하는 활막염 (손가락을 구부리는 힘줄의 염증) 때문입니다. 주된 증상은 엄지손가락 ~ 약지손가락 쪽의 저림과 감각 저하(만진 느낌이 둔하다)입니다.
초발 증상은 가운데 손가락의 저림으로 발병하는 경우가 많으며 점차 옆 손가락으로 퍼져가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또한 전형적인 사례로는 야간이나 새벽에 통증이나 저림이 악화되어 통증 때문에 잠이 깬다고 호소합니다. 증상이 악화되어 가면 모지구근(모지의 관절 근육)의 근력 저하를 초래합니다. 고도의 마비가 되면 모지구근의 위축이 두드러져 엄지를 펴지 못하게 됩니다. 단추를 채우지 못하거나 동전을 집을 수 없는 등 일상생활에서도 큰 장애가 됩니다.
자가진단하는 법
진단의 요점은 엄지손가락-약지손가락 쪽에 국한된 저림과 지각 저하입니다. 많은 환자는 손 전체가 저리고 감각이 둔하다고 호소하지만 세심하게 감각 검사를 실시하면, 새끼손가락은 저림이 없고 엄지 측에 비해 분명히 감각장애가 가볍습니다.
티넬 징후(수근관부를 가볍게 두드리면 손가락 끝에 방산하는 저림)나 달칸 징후(수근관부를 손가락으로 압박하면 저림이 증가), 팔렌 징후(손 관절을 구부리면 저림이 증가)도 상당한 빈도로 양성이 됩니다. 또한 위에서 언급했듯이 중증 사례에서는 모지구근의 위축이 발생합니다. 임상 증상만으로 진단은 충분히 가능하지만, 객관적인 신경장애 정도의 지표로서 전기생리학적 검사를 실시합니다.
감별 진단은 경추의 변형이나 흉곽 출구 증후군 등 중추에서의 신경의 압박 장애입니다. 손목터널증후군과 이러한 질병의 감별은 감각 장애의 확산을 꼼꼼히 살펴보면 결코 어렵지 않습니다.
1) 팔렌 검사
양쪽 손목을 구부리고 손등을 서로 맞댄 상태에서 1분 내에 손끝에 저림이 느껴진다면 손목터널 증후군이라고 의심할 수 있습니다.
2) 티넬 검사
손바닥이 위로 향하게 하여 손목의 중앙 부분을 검지와 중지로 툭툭 가볍게 쳤을 때 저림을 호소한다면 손목터널증후군을 의심해야 합니다.
3) 핀켈스타인 검사
엄지손가락을 주먹 안으로 넣어(엄지손가락을 나머지 손가락으로 감싸 쥔다) 손목을 꺾어서 확인하는 방법입니다.
손목터널증후군 스트레칭 방법
1) 스파이더 푸쉬업 밀러
양쪽 다섯 손가락 끝을 모은 다음에 엄지가 위로 향하게 합니다. 최대한 벌린 다음 다시 돌아오면 됩니다.
2) 쉐이크
손목 스트레칭하는 것처럼 손을 털 듯이 흔들면 됩니다.
3) 리스트 플렉서 스트레치
한 손을 뻗어 손등이 위를 향하게 하고 손바닥을 몸 쪽으로 당겨주게 되면 위쪽 부분이 당겨지는 느낌을 받습니다.
다시 손을 뒤집어서 손등을 몸 쪽으로 당겨주면 똑같이 위쪽 부분이 당겨지는 느낌을 받게 됩니다. 반대 손도 해주시면 되겠습니다.
두 손을 깍지 낀 상태에서 손목을 풀어주는 등 한 번씩 손을 풀어주는 시간을 가지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