팔꿈치 안쪽, 약지와 새끼 손가락 통증 - 팔꿈치터널 증후군
손이 마비되는 병은 많이 있는데요. 그중 새끼손가락과 약지손가락이 마비되는 것뿐만 아니라 미세한 수작업이 어려워지는 팔꿈치터널증후군이 있습니다.
팔꿈치터널증후군이란?
팔꿈치의 안쪽을 지나는 척골신경이 압박되어 새끼 손가락, 약지 손가락이 마비되거나 손을 사용하기 어려워지는 병입니다.
척골 신경은 새끼 손가락과 약지 손가락의 감각을 갖고 있는 것과 동시에, 손의 세세한 동작을 하는 내재근 이라고 하는 근육의 대부분에 명령을 내리고 있습니다.
주관(팔꿈치터널): 다양한 근육과 인대, 뼈에 신경이 둘러싸여 있습니다.
팔꿈치 안쪽에는 뼈와 인대, 근육으로 둘러싸인 주관 이라는 터널이 있어 척골 신경이 지나고 있습니다.
팔꿈치터널증후군 증상
초기에는 새끼 손가락과 약지에 마비를 느낍니다.팔꿈치를 구부린 상태면 마비가 강해지는 경우가 많아, 책을 읽고 있거나, 스마트폰을 사용할 때 마비가 올 수도 있습니다. 증상이 진행된다면 증상의 범위는 새끼 손가락으로도 퍼지게됩니다..마비의 증상이 진행되면 손등에서 뼈가 떠오르는 (근육이 마른) 것처럼 되어, 주먹을 쥐었다, 폈다 하거나, 젓가락을 사용하기 어려워지는 상황이 오게됩니다.
팔꿈치터널증후군 방치하면 어떻게 될까?
| 섬세한 동작을 힘들어진다.
손의 섬세한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요소의 하나가, 내재근이라고 하는데요. 손 안에 작은 근육을 말하고 20개 정도 있습니다. 그 중 15개는 팜꿈피터널증후군으로 이어지는 척골 신경으로부터 명령을 받고 있기 때문에 손이 서투르게 되어 버립니다.
| 악력이 약해진다
내재근 하나하나의 힘은 약하지만, 모두 맞춘 힘은 악력 전체의 40% 정도 있습니다. 또, 새끼 손가락과 약지 손가락을 구부리는 전완의 근력도 약해지기 때문에, 힘을 필요로 하는 동작에 지장이 나옵니다.
| 방치하면 완전한 회복이 어려워진다.
증상이 가벼운 초기라면 몇 개월 만에 회복되는 경우가 많지만 신경이 강한 데미지를 받고 "축삭 변성"이라는 상태가되면 회복 속도는 하루 1mm라고 합니다.
치료를 받고 신경이 회복되기 시작해도 팔꿈치에서 손가락 끝까지의 거리는 30cm 이상이기 때문에 단순 계산에서도 회복에는 1 년이 걸립니다.
원인
팔꿈치의 안쪽에는 척골 신경이라는 신경 이 있어, 뼈와 인대(인대: 뼈와 뼈를 연결하고 있는 줄)로 형성되는 주관 이라고 하는 터널의 내부를 지나다니고 있습니다.이 터널 부분에서 척골 신경이 만성적으로 자극을 받으면 발생합니다.
원인은 다양하지만 대표적으로 노화성 변화 로 뼈가 변형되어 자극을 받는 경우인대가 두껍게 됨으로써 자극을 받는 경우어린 시절의 골절의 영향 에 의한 팔꿈치 변형스포츠(투구나 유도 등) 에서 반복되는 자극등에서 발생합니다.
검사방법
ㆍ티넬 징후 테스트 : 팔꿈치 안쪽을 두드리면 손가락 끝 (새끼 손가락, 약지)이 저리거나 통증이 있는지 체크
ㆍ척골 신경 자극 테스트 : 팔꿈치를 구부린 상태에서 손목을 안쪽으로 비틀면 팔꿈치 안쪽에 통증이 느껴지거나 손가락 끝 (새끼 손가락, 약지)에서 통증이 느껴집니다.
ㆍ프로멘트 징후 : 엄지와 검지 손가락의 부분으로 종이를 끼고, 종이를 당겼을 때, 빠지지 않도록 엄지의 제일 관절이 구부러져 버립니다.
그 이유는 엄지손가락을 닫는 근육, 집게손가락을 여는 근육의 힘이 약해지기 때문에 엄지손가락의 첫 번째 관절을 구부려 종이를 끼우는 힘을 보충하려는 현상입니다.
ㆍ신경 전도 속도 측정(NCV) : 신경 손상 상태를 확인하는 검사입니다. 신경에 전기 자극을 하여 전해지는 속도를 측정합니다.
ㆍ팔꿈치 굴곡 테스트
팔꿈치를 최대한 구부리고 잠시 후, 새끼 손가락과 약지의 마비가 느껴집니다.
치료방법
① 국소안정 : 신경에 부담이 걸리는 동작(반복하는 작업, 팔꿈치를 강하게 구부리는 동작 등)을 피하고 신경의 회복을 촉진합니다.
② 약물요법 : 비타민 B12, 말초신경장애성 통증 개선약 등 마비나 신경성 통증을 개선하는 약을 복용합니다.
③ 주사요법 : 초음파로 신경의 위치를 확인하고 신경 주위에 스테로이드 등의 염증을 억제하는 약을 주사합니다.
④ 수술요법 : 근육이 마른다거나 손가락이 움직이기 어려워지거나 하는 마비의 증상이 나타난 경우나 증상이 진행성인 경우에는 의사의 진료를 받고 수술여부를 정합니다.수술로는 인대와 밴드를 절제하여 신경길을 넓히는 방법 이나 신경의 주행 자체를 이동시키는 방법 등을 실시합니다.
대표적인 팔꿈치터널 증후군 예방법
팔꿈치를 오래 굽히고 있는 자세는 피하고 주기적으로 스트레칭 하여 손목을 풀어줍니다.
키보드, 마우스 사용 시 패드를 사용해줍니다.
오늘은 팔꿈치터널 증후군의 증상과 원인, 검사 방법, 치료방법, 예방법 등 알아보았습니다. 손이 마비될 수도 있는 무서운 증후군이니 검사를 하며 미리 예방할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